전체 글 61

[향료도감] Honeysuckle

#1. 개요 그린하면서 맑은 꽃 향. Floral, Green, Fresh #2. 이미지 #3. 느낌 맑은 Green 향을 바탕으로 하면서 rose 같은 floral 향을 섞은 듯한 느낌. 전체적으로 깨끗한 느낌이 안정감 있고 기분을 좋게 만든다. Green한 파트는 아주 맑은 느낌이 들고 floral한 파트는 가까이에서 꽃가루 냄새를 맡는 기분이 든다. #4. 추가정보 서식지는 한국, 일본, 중국인 식물로 인동초라고도 부른다. 줄기가 다른 물체를 감으며 올라가기 때문에 인동덩굴이라고도 한다.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아 겨울을 참는다는 뜻으로 '인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인동은 잎과 줄기를 의미하며 꽃봉오리는 금은화라고도 부른다. 향은 tuberose, jasmin, orangeflower를 잘 혼합..

[향료도감] Hyacinth

#1. 개요 그린하면서 풍부한 꽃 향. Floral, Green, Rich #2. 이미지 #3. 느낌 Honeysuckle과 비슷한 Green floral의 느낌이다. 앞은 Honeysuckle 보다 좀 더 진한 green의 느낌이고 뒤는 Lilac 같이 약간 코를 쏘듯이 풍부한 느낌이 있다. #4. 추가정보 원산지는 시리아, 터키, 그리스 주변으로 알려져 있다. 야생종은 파란 꽃이 피어 blue bell로도 불린다. 강한 green note를 나타내며 green floral의 대표적인 향이다. 보통 enfleurage 법으로 향을 얻지만 통상은 hexane, benzene 등으로 앱솔루트를 추출한다. 주 성분은 β-phenyl ethyl alcohol, benzyl alcohol, benzyl acet..

[향료도감] Heliotrope

#1. 개요 달콤한 파우더같은 꽃 향. Floral, Powdery, Vanilla #2. 이미지 #3. 느낌 바닐라의 달콤한 느낌과 파우더 느낌이 함께 존재하는 floral 향. 마음이 차분해지는 꽃 향으로 섬유유연제에 잘 어울릴 것 같다. 시간이 지날수록 파우더리한 느낌이 많이 올라온다. #4. 추가정보 원산지는 페루, 에콰도르인 꽃으로 보라색 작은 꽃이 밀집하여 핀다. 향기가 좋아 향수목이라고 불리며 과거에는 꽃으로 absolute를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나 수율이 좋지 않아 현재는 채유하지 않는다. 주 성분은 Heliotropine, vanillin, cinnamyl alcohol, iso eugenyl acetate 등이다. 그 중에서 heliotropin은 핵심 성분으로 지속성이 있으며 vanil..

[향료도감] Guaiac wood

#1. 개요 스모키하면서 축축한 느낌의 나무향. Woody, Mossy, Smoky #2. 이미지 #3. 느낌 다른 woody 향에 비해 확산성이 낮은 나무 향. 텁텁하고 드라이한 느낌은 적고 맑고 축축한 느낌이 든다. 스모키한 느낌도 조금 있는데 나무가 불에 타다가 비가와서 젖어버린 장작을 연상시킨다. 찜질방의 습식 사우나가 떠오르는 향으로 황토방의 느낌도 조금 있다. #4. 추가정보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원산지인 나무로 목질이 단단하고 부패나 벌레에 강하여 가구로 많이 이용된다. 최근에는 Bulnesia sarmienti Lor의 정유가 guaiac wood 오일로 판매되고 있다. 향은 나무 속을 잘 말린 톱밥을 수증기 증류하여 정유를 얻는다. 주 성분은 guaiol, bulnesol로 알려져 있으며..

[향료도감] Green Tea

#1. 개요 맑고 신선한 녹차 향. Green, Fresh, Marine #2. 이미지 #3. 느낌 초록색 이미지의 대표적인 향으로 아주아주 맑은 향이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녹차에서 씁쓸한 느낌을 뺀 향. Marine 노트와 굉장히 잘 어울릴 것 같고, 향료 자체로도 충분히 좋다. #4. 추가정보 녹차의 원산지는 중국으로 알려져 있다. 차나무의 어린잎을 주 재료로 하여 비발효차는 녹차, 발효차는 홍차, 반발효차를 우롱차라고 한다. 차의 떫은 맛은 catechin이며 감의 tannin과 비교하여 결합이 약해 불쾌감을 크게 주지 않는다. 향은 녹차로부터 수증기 증류하여 얻거나, 저온에서 추출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한다. 주 성분은 cis-hexenol, ester, trans-2-hexenyl es..

[향료도감] Green Note

#1. 개요 진한 잎사귀 또는 풀의 향. Green, Leafy, Dry #2. 이미지 #3. 느낌 Green 계열의 향이지만 아주 탁하고 텁텁한 느낌. 채도가 높은 연두색 쪽이 떠오르는 향. 후라보노 껌 같은 느낌의 herbal 향이 독특하다. 깻잎과 비슷한 향이 난다. #4. 추가정보 특정한 물체나 대상이 아니라 그린 계열의 느낌을 전반적으로 표현한 합성향료이다. 따라서 제조사마다 그린한 느낌과 맑고 탁한 정도, 가볍고 무거운 정도가 다르다. 보통 잎이나 풀을 손으로 비볐을 때 느낄 수 있는 싱그러운 냄새를 green note라고 한다. 나뭇잎이나 풀잎 같은 느낌을 leafy green, hyacinth나 narcissus 같은 느낌을 floral green, galbanum, cassis 같은 느낌..

[향료도감] Grapefruit

#1. 개요 신선하면서 씁쓸한 자몽향. Citrus, Bitter, Fresh #2. 이미지 #3. 느낌 신선하면서 씁쓸한 자몽 향으로 시트러스 계열 중에서는 가장 무거운 느낌이다. 개인적으로 시트러스를 하루의 햇빛에 비유하고는 하는데 오후 5시에서 6시정도의 빨갛게 지는 태양의 느낌과 가깝다. #4. 추가정보 과육은 흰색부터 분홍색, 빨간색까지 다양하며 달고 신맛과 동시에 쓴맛도 가지고 있다. 씁쓸한 느낌이 강한 것이 일반 감귤류와의 차이이다. 주로 미국, 이스라엘, 중국, 아르헨티나, 남아공 등에서 생산된다. 우리 주변에서는 자몽에이드나 포카리스웨트 음료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대부분의 시트러스 향료처럼 과피를 압착하여 향을 얻으며 주 성분은 d-limonene, octyl aldehyde, ..

[향료도감] Ginger

#1. 개요 톡 쏘는 생강 향. Spicy, Warm, Sparkling #2. 이미지 #3. 느낌 독특한 스파이시 향이 강하게 올라오고 톡 쏘는 느낌이 있다. 다른 스파이시 계열 향들보다는 덜 묵직한 편이고 흔히 접할 수 있는 생강보다는 더 드라이하면서 알싸한 느낌은 덜하다. 개성있고 이국적인 특이한 향으로 인도나 동남아시아 쪽이 떠오른다. #4. 추가정보 실생활에서 음식에 향신료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익숙한 스파이시 향이다. 매운맛이 강하고 알싸한 것은 gingerol이라는 성분 때문이며 텁텁하면서 씁쓸한 맛도 있다. 향료는 뿌리를 향신료로 이용하며 수증기 증류하여 얻는데, 먹을 때와는 달리 맵고 알싸한 느낌이 덜하다. 주성분은 camphene, K58-pinene, myrcene, α-te..

[향료도감] Geranium

#1. 개요 그린한 장미와 비슷한 꽃 향. Floral, Rosy, Green #2. 이미지 #3. 느낌 장미향과 비슷하지만 좀 더 그린하고 맑은 느낌이 느껴지는 냄새. 얼그레이 같은 홍차 느낌도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로즈와 비슷해지는 향. #4. 추가정보 우리나라 말로는 구문초라고도 하며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다.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세계 곳곳에서 재배된다. 잎은 강하고 은은한 장미향과 같은 냄새를 가지고 있다. 향은 가지를 꽃피기 전에 수집해서 1일 방치 후 수증기 증류하여 얻는다. 알려진 주성분은 1-citronellol, geraniol, linalool, isomenthone 등이 있으며 oriental note에 사용하여 powder 효과를 준다.

[향료도감] Gardenia

#1. 개요 신선하면서 우아한 꽃 향. Floral, Fresh, Green #2. 이미지 #3. 느낌 자스민과 비슷한 느낌의 화이트 플로럴 향. 자스민의 가장 큰 특징은 꽃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animalic하다는 것인데, 가데니아도 마찬가지로 animalic한 느낌이 존재한다. 다만 animalic한 성분이 많으면 느껴지는 역한 느낌은 조금 덜하다. 또한 시원하고 깨끗한 느낌은 자스민에 비해 조금 더 강하기 때문에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green한 느낌의 자스민이라고 할 수 있겠다. #4. 추가정보 치자꽃이라고도 하며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에서 자란다. 강하고 아름다운 냄새를 가지고 있으나 수율이 좋지 않아 천연향을 얻지 못하고 있다. 주 성분은 linalool, linalyl acetate, b..